맨위로가기

르우벤 지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우벤 지파는 야곱의 아들 르우벤의 후손들로 구성된 이스라엘의 지파이다. 성경에 따르면 르우벤 지파는 4개의 가문으로 나뉘었으며, 출애굽 이후 족장과 분단 우두머리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르우벤 지파는 요르단 강 동쪽 길르앗 땅을 상속받아 갓 지파, 므낫세 지파와 함께 정착했으며, 가나안 정복 전쟁에 참여했다. 사사 시대에는 시스라와의 싸움에 참여하지 않아 드보라에게 책망받았으며, 아시리아의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 의해 다른 지파와 함께 추방되었다. 르우벤 지파는 깃발을 상징으로 사용했으며, 에스겔서와 요한 묵시록에도 언급된다.

2. 성경

르우벤 지파는 에녹 가문, 팔루 가문, 헤스론 가문, 카르미 가문의 네 가문으로 구성되었다. 출애굽 이후에는 세데우르의 아들 엘리줏이 르우벤 지파의 족장이자 분단 우두머리로 활약했다.

르우벤 진영은 깃발을 따라 진군할 때 시므온 지파, 갓 지파와 함께 유다 지파 진영 다음으로 진군했다. 가나안 땅 정탐을 위해 르우벤 지파에서는 자굴의 아들 삼무아가 파견되었다.

모세아론에게 반역을 일으킨 레위인 코라와 공모한 자들은 르우벤 지파 엘리압의 아들 다단과 아비람, 벨렛의 아들 온이었다.

첫 번째 인구 조사에서는 20세 이상 남자가 46,500명이었고, 38년 후 두 번째 조사에서는 43,730명이었다.

르우벤 지파는 가축이 많아 요르단강 동쪽의 길르앗 땅을 상속지로 요구했다. 갓 지파, 므낫세 지파와 함께 모세에게 요구하여, 요르단 강을 건너 가나안 땅이 정복될 때까지 다른 지파와 함께 싸운다는 조건으로 허락받았다.

상속지는 동쪽으로 암몬인과 국경을 접하고, 북쪽은 요르단 강과 사해, 남쪽은 아르논강을 경계로 했다. 서쪽은 요르단의 벳 니므라 남쪽 지점에서 헤스본에 이르는 선을 갓 지파의 상속지와의 경계로 했다. 르우벤 지파는 천연 방어가 취약하여 동쪽과 남쪽에서 외적의 침략에 노출되었다.

가나안 정복 완료 후, 요르단 강 동쪽 소유지로 귀환하여 제단을 쌓았으나 의혹을 샀다. 사사 시대에는 시스라와의 싸움에 협력하지 않아 드보라에게 책망받았으나, 하갈인과의 싸움에서는 신에게 도움을 청하여 승리했다.

에스겔서에 등장하는 문 중 하나에는 르우벤 지파의 이름이 붙어 있으며, 요한 묵시록에도 이스라엘 자손 중 르우벤 지파가 포함되어 있다.

2. 1. 기원

모세오경에 따르면, 르우벤 지파는 야곱레아에게서 낳은 장자 르우벤의 후손들로, 그의 이름을 따서 지파의 이름이 지어졌다.[35][36][37] 역사학자들은 야곱과 르우벤의 이야기가 르우벤 지파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창작된 이야기라고 해석한다.[7][8][9]

민수기는 르우벤 지파가 르우벤의 네 아들 하녹, 발루, 헤스론, 갈미를 따라 네 분파(하녹 족속, 발루 족속, 헤스론 족속, 갈미 족속)로 나뉜다고 전한다.[38][10]

창세기 49장에 기록된 야곱의 축복에서 야곱은 자손들의 운명을 예언하고 축복한다. 현대 역사학자들은 야곱의 축복이 각 지파의 사건들이 모두 벌어진 후에 그 원인을 창작하여 적은 것으로 추정한다.[39][11] 르우벤은 여기서 야곱의 첩 빌하와 동침한 것에 대한 대가로 "위풍이 월등하고 권능이 탁월하다마는 물의 끓음 같았은즉 너는 탁월하지 못하리니"라는 예언을 받는다.[12]

성경은 르우벤과 네 아들을 포함해 야곱의 가족들 약 70명이 이집트로 내려갔다고 말한다.[40][13] 출애굽기 기록에 따르면 이스라엘 자손은 이집트에 430년 동안 머물렀고, 그 수는 여성이나 어린이를 제외하고 약 60만 명으로 늘어났다.[41][14] 이 때에 그들은 이집트를 떠나서 이집트와 약속된 가나안 땅 사이의 광야를 사십 년 동안 떠돌았다.[42][15]

지파들이 요단 강을 건너 가나안으로 들어갈 준비를 하고 있을 때, 민수기는 이스라엘 자손이 요단 강 동쪽의 왕 시혼을 물리쳤다고 기록한다.[43][16] 르우벤과 가드 지파는 그들이 가축을 키우는데 적합한 요단 동쪽의 땅을 그들의 기업으로 달라고 부탁한다. 모세는 요단 강 서쪽의 땅을 정복하는 것을 돕겠다는 약속을 받는 대가로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그들에게 요단강 동편의 땅을 주었다.[44][17] 모세가 죽은 후 여호수아는 이스라엘 자손의 지도자가 되었고,[45][18] 르우벤을 포함한 요단강 동부 지파들의 도움을 받아[19] 가나안의 일부를 정복한 뒤 가나안 땅을 나머지 열두 지파에게 분배하였다.[46][20]

이 사건이 기원전 1200년에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학자가 있는 반면,[47][21] 거의 모든 역사학자들은 여호수아기에 나타난 것과 같은 가나안 정벌이 벌어진 적이 없다고 본다.[48][22] 이스라엘 핑켈슈타인은 체계적인 정복의 증거 부족과 가나안 유적에서 새로운 문화가 갑작스레 출현한 것은 이스라엘이 가나안 사회 내의 하위 문화로 먼저 생성된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49][23]

2. 2. 이집트 탈출과 가나안 정착

모세오경에 따르면 르우벤 지파는 야곱레아에게서 낳은 장자 르우벤의 후손이며, 그의 이름을 따서 지파의 이름이 지어졌다.[35][36][37] 민수기는 르우벤 지파가 르우벤의 네 아들 하녹, 발루, 헤스론, 갈미를 따라 네 분파로 나뉜다고 전한다.[38]

야곱의 축복에서 야곱은 르우벤이 자신의 첩 빌하와 동침한 것에 대한 대가로 "위풍이 월등하고 권능이 탁월하다마는 물의 끓음 같았은즉 너는 탁월하지 못하리니"라는 예언을 한다.

성경은 르우벤과 네 아들을 포함해 야곱의 가족들 약 70명이 이집트로 내려갔다고 말한다.[40] 출애굽기 기록에 따르면 이스라엘 자손은 이집트에 430년 동안 머물렀고, 여성이나 어린이를 제외하고 약 60만 명으로 늘어났다.[41] 이때에 그들은 이집트를 떠나 가나안 땅 사이의 광야를 사십 년 동안 떠돌았다.[42]

민수기는 이스라엘 자손이 요단 강 동쪽의 왕 시혼을 물리쳤다고 기록한다.[43] 르우벤과 가드 지파는 가축을 키우는데 적합한 요단 동쪽의 땅을 그들의 기업으로 달라고 부탁했고, 모세는 요단 강 서쪽의 땅을 정복하는 것을 돕겠다는 약속을 받는 대가로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요단강 동편의 땅을 주었다.[44] 모세가 죽은 후 여호수아는 이스라엘 자손의 지도자가 되었고,[45] 르우벤을 포함한 요단강 동부 지파들의 도움을 받아 가나안의 일부를 정복한 뒤 가나안 땅을 나머지 열두 지파에게 분배하였다.[46]

이 사건이 기원전 1200년에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학자가 있는 반면,[47] 거의 모든 역사학자들은 여호수아기에 나타난 것과 같은 가나안 정벌이 벌어진 적이 없다고 본다.[48] 이스라엘 핑켈슈타인은 체계적인 정복의 증거 부족과 가나안 유적에서 새로운 문화가 갑작스레 출현한 것은 이스라엘이 가나안 사회 내의 하위 문화로 먼저 생성된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49]

2. 3. 판관 시대와 왕정 시대

드보라의 노래에서 르우벤 지파는 시스라의 군대와의 전투에 참여하지 않고, 양떼 사이에서 한가롭게 쉬었다고 묘사된다.[50][24]

역대기에는 다윗다윗성을 점령할 때 도움을 준 다윗의 용사들 중에 르우벤 지파의 우두머리 아디나와 삼십 명의 르우벤 지파 전사들이 등장한다.[51][26] 또한 역대기에서 사울왕 통치기에 르우벤 지파가 하갈 사람들과 싸워 승리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갓 지파와 므나쎄 지파의 절반이 힘을 보탰다고 한다.[52][27][28]

요세푸스에 따르면, 암몬 왕 나하스는 야베스-길르앗을 공격하며 항복 조건으로 죽음 또는 오른쪽 눈을 뽑히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요구했다. 야베스-길르앗 주민들은 7일간의 유예를 얻어 이스라엘 백성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사울이 군대를 일으켜 나하스를 물리쳤다. 사해 사본의 기록을 보면 나하스는 갓 지파와 르우벤 지파 사람들의 오른쪽 눈을 뽑는 가혹 행위를 했다.[25]

메사 석비 (기원전 840년경)에 따르면, 모압인들은 기원전 9세기 후반에 많은 영토를 되찾았다. 석비는 갓 지파와의 싸움을 언급하지만 르우벤 지파는 언급하지 않는데, 이는 르우벤 지파가 더 이상 별개의 세력으로 인식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에스겔서에 등장하는 문 중 하나에는 르우벤 지파의 이름이 붙어 있으며, 요한 묵시록에도 이스라엘 자손 중 르우벤 지파가 포함되어 있다.

3. 영토

여호수아기에 따르면 르우벤 지파의 땅은 요르단강 동쪽 트란스요르단 지역에 위치하며, 서쪽으로는 사해와 접하고 남쪽으로는 아르논강, 동쪽으로는 메드바 곁에 있는 온 평지에 이른다.[32]

모세요르단강사해의 동쪽 지역에 있는 땅을 르우벤 지파, 갓 지파, 므낫세 지파의 절반에게 분배했다.[2] 르우벤 지파는 사해 바로 동쪽에 있는 영토를 할당받았는데, 남쪽으로는 아르논강까지, 북쪽으로는 사해가 뻗어 있는 곳까지 이르렀으며, 동쪽 경계는 사막으로 변하는 땅으로 모호하게 정의되었다. 이 영토에는 마대바 평원이 포함되었다.

르우벤 지파는 가축이 많았기에 요르단강 동쪽의 길르앗 땅을 상속지로 갓 지파, 므낫세 지파와 함께 모세에게 요구했고, 요르단 강을 건너 가나안 땅이 정복될 때까지 다른 지파와 함께 싸운다는 조건으로 허락받았다.

상속지는 동쪽은 암몬인과 국경을 접하고, 북쪽은 요르단 강과 사해, 남쪽은 아르논강을 경계로 하며, 서쪽은 요르단의 벳 니므라 남쪽 지점에서 헤스본에 이르는 선을 갓 지파의 상속지와의 경계로 했다. 르우벤 지파는 천연의 방어가 없었기에 동쪽과 남쪽에서 외적의 침략에 노출되었다.

3. 1.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의 경계 문제

여호수아기므나쎄 지파의 절반과 갓 지파처럼 르우벤 지파의 땅이 요단강 동쪽 트란스요르단 지역에 위치한다고 전한다.[32] 성경은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 사이의 경계를 분명히 하지 않는데, 민수기 32장 34절에서는 디본과 아로엘이 갓 지파의 땅이라 말하지만, 여호수아기 13장 15-16절에서는 르우벤의 땅으로 나타난다.[33][3][4]

이에 따라 유대교에서는 르우벤 지파의 땅이 갓 지파 안에 월경지처럼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33][5] 또한 여호수아기 13장은 르우벤 지파의 북쪽이 갓 지파에 접한다고 말하지만, 민수기에서는 르우벤 지파가 헤스본 인근에서 갓 지파에게 둘러싸여 사는 것처럼 설명한다.[6]

이를 두고 여호수아기의 영토는 솔로몬 통치기를, 민수기의 영토는 다윗 통치기를 나타낸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기원전 900년경에는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의 영토 일부가 모압에 의해 빼앗긴다.[34][6]

4. 쇠퇴와 소멸

고대 드보라의 노래에 따르면, 이 시기에 르우벤 지파는 시스라와의 전쟁에 참여하지 않고, 마치 평화로운 때인 것처럼 양떼 사이에서 한가롭게 쉬었다고 한다. 비록 그렇게 결정하는 데 마음이 무거웠지만 말이다.[24]

역대기에 따르면, 아디나와 30명의 르우벤 사람들이 용사로서 다윗 성을 정복하는 데 다윗을 도왔다.[26] 또한 사울 왕의 통치 기간 동안 르우벤 지파는 하갈 사람들과의 전쟁을 일으켜 승리했는데,[27] 이 전쟁에서 갓 지파와 므낫세 지파의 동쪽 절반의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28]

역대기상 5:26에 따르면, 아시리아티글라트-필레세르 3세(기원전 745–727년 통치)는 르우벤, 갓, 므낫세 반 지파를 "할라, 하보르, 하라, 고산 강"으로 추방했다.

모압메사 석비 (기원전 840년경)에 따르면, 모압인들은 기원전 9세기 후반에 많은 영토를 되찾았다. 석비는 갓 지파와의 싸움을 언급하지만 르우벤 지파는 언급하지 않는데, 이는 그들의 지정된 고향의 중심부에 있던 느보와 야하스를 점령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이것은 이 시점에서 르우벤 지파가 더 이상 이 지역에서 별개의 세력으로 인식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5. 상징

르우벤 지파의 상징은 만드라케였으며, 일부에서는 사람 또는 남자아이(아벤 에즈라)를 나타낸다고도 하였다.[31] 르우벤 지파는 민수기에 묘사된 깃발을 가지고 있었다.[29][30]

6. 에스겔과 요한계시록

에스겔서에 등장하는 문 중 하나에는 르우벤 지파의 이름이 붙어 있으며, 요한 묵시록에도 이스라엘 자손 중 인(印)이 찍힌 자들 중에 르우벤 지파가 포함되어 있다.[29]

참조

[1] 서적 Biblical Peoples and Ethnicity: An Archaeological Study of Egyptians, Canaanites, Philistines, and Early Israel, 1300–1100 B.C.E.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 2005-10
[2] 성경
[3] 성경
[4] 성경
[5] 웹사이트 Reuben, Tribe of http://www.jewishenc[...] 1906
[6] 서적 The Land of the Bible: A Historical Geograph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79-01-01
[7] 서적 The Book of Genesis: Composition,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2-03-20
[8] 서적 Ancient Israel: What Do We Know and How Do We Know It?: Revised Edi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7-02-23
[9] 서적 Changing Perspectives 1: Studies in the History, Literature and Religion of Biblical Israel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0-03
[10] 문서 Numbers 26:5. See also Genesis 46:9, Exodus 6:14, and 1 Chronicles 5:1-3.
[11] 서적 Who Wrote the Bible? Harper San Francisco 1987
[12] 성경
[13] 문서 Genesis 46:1-27
[14] 문서 Exodus 12:37-40 in the Masoretic Text. The Septuagint counts the 430 years as including not only the time in Egypt but also some previous time in the land of Canaan.
[15] 문서 Numbers 32:13
[16] 문서 Numbers 21
[17] 문서 Numbers 32
[18] 문서 Joshua 1
[19] 문서 Joshua 4:12-13
[20] 문서 This conquest and allotment of land is the subject of the whole book of Joshua, but see especially chapters 6, 8-12 for some conquest narratives, 13-21 on the allocation of land.
[21]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22] 서적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Congress Volume Oslo 1998 BRILL 2017-01-15
[23] 서적 The Bible Unearthed
[24] 성경
[25] 서적 'Qumran Cave 4 – XII, 1-2 Samuel (Discoveries in the Judaean Desert Series, XVII)' Clarendon Press 2005
[26] 성경
[27] 성경
[28] 성경
[29] 성경
[30] 웹사이트 Tribal identity: the meaning of the Jewish flag https://www.timesofi[...]
[31] 서적 A Pisgah sight of Palestine https://books.google[...]
[32] 문서 여호수아 13:15-23
[33] 웹사이트 Reuben, Tribe of http://www.jewishenc[...] 1906
[34] 서적 The Land of the Bible: A Historical Geograph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79-01-01
[35] 서적 The Book of Genesis: Composition,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2-03-20
[36] 서적 Ancient Israel: What Do We Know and How Do We Know It?: Revised Edi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7-02-23
[37] 서적 Changing Perspectives 1: Studies in the History, Literature and Religion of Biblical Israel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0-03
[38] 문서 민수기 26:5, 창 46:9, 출 6:14, 역대상 5:1-3
[39] 서적 Who Wrote the Bible? Harper San Francisco
[40] 문서 창 46:1-27
[41] 문서 마소라 본문의 출 12:37-40. [[70인역]]은 430년이 이집트에서 보낸 시간만 센 것이 아니라 가나안에서 보낸 시간도 센 것이라 설명한다.
[42] 문서 민 32:13
[43] 문서 민수기 21장
[44] 문서 민수기 32장
[45] 문서 여호수아 1장
[46] 문서 This conquest and allotment of land is the subject of the whole book of Joshua, but see especially chapters 6, 8-12 for some conquest narratives, 13-21 on the allocation of land.
[47]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48] 서적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Congress Volume Oslo 1998 BRILL 2017-01-15
[49] 서적 The Bible Unearthed
[50] 문서 판관기 5:15-16
[51] 문서 역대상 11:42
[52] 문서 역대기 5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